티스토리 뷰
영화 밀양 해석 그녀에게는 무슨 죄인가
영화 밀양 해석해 보겠습니다. 이 영화는 2007년에 개봉한 영화로 감독은 이창동 감독이며 출연은 전도연, 송강호 님 등입니다. 인간에게 가장 소중한 것을 꼽으라고 하면 단연 자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무런 잘못도 안 한 그녀가 갑자기 세상에서 제일 사랑하는 아들을 잃게 되면서 세상을 원망하는 내용이 담긴 스토리가 바로 이 영화 밀양입니다. 그녀의 시선으로 이 영화에 대해 좀 더 심도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떠나는 그녀
극 중 전도연 님은 이신애로 나옵니다. 이신애는 남편과 사별하고 난 이후 사랑하는 외아들과 함께 새로운 삶을 시작하고자 밀양으로 떠나게 됩니다. 그녀는 새로운 곳에서의 시작이라는 설렘과 이곳에서 잘 정착할 수 있을까라는 걱정스러운 마음으로 그렇게 이사를 가게 됩니다. 그녀는 그곳에서 피아노 학원을 운영하면서 생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녀가 이렇게 이사를 온 이유, 그리고 그녀가 이렇게 열심히 돈을 벌어야 하는 이유이자 목적은 오직 그녀의 하나밖에 없는 아들입니다. 하지만 그녀가 이사를 온 이후 그녀의 삶은 180도 불행해지는 삶으로 변하게 된 셈입니다.
갑자기 사라진 아들
어느 날 갑자기 아들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게 됩니다. 여기저기 수소문했지만 그녀는 결국 아들을 찾지 못합니다. 경찰에 실종신고를 하고 모든 노력을 했지만 이번 유괴사건의 결말은 결국 아들의 죽음입니다. 그녀는 아들의 죽음을 인정하고 싶지 않습니다. 이신애는 누구에게 죄를 짓지 않는 삶을 살았고 그녀는 아들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엄마입니다. 그런 그녀에게 삶의 목적인 아들이 죽었다는 것은 곧 삶을 부정하는 것과도 같은 셈입니다. 그녀는 지금 아들 없는 현재의 모습을 부정하고 싶습니다. 어제까지만 해도 밝게 웃으면서 엄마 옆에 있었던 아들이었기에 그녀는 아들의 죽음을 마음으로 받아들이지 못합니다.
빛이 들어오다
그녀는 모든 삶의 희망을 놔버리고 칩거하는 생활을 하게 됩니다. 그녀의 초점 없는 눈빛, 힘없는 몸, 가만히 소파에 누워있는 모습에서 갑자기 소파로 비치는 햇빛이 보입니다. 영화에서는 아마도 이 햇빛으로 하늘의 의미를 알려주고 싶었는지도 모릅니다. 빛이 집에 들어오면서 그녀는 다시 일어서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런 그녀를 옆에서 살뜰히 돌봐주는 남자가 있었으니 바로 김종찬입니다. 송강호 님이 김종찬 역할을 맡았으며 김종찬은 극에서 카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남성으로 나옵니다. 김종찬은 이신애가 이사 온 순간부터 그녀에게 푹 빠졌으며 그녀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거나 모든 것을 그녀와 함께 하고 싶어 합니다. 아들을 잃고 난 이후 실의에 빠져있는 그녀에게 빛을 보여주기 위해 어둠에서 나올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종교에 귀의하다
신애에게는 더 이상의 희망이 없습니다. 그녀에게는 삶의 목적이 아들이었는데 그런 아들이 없으니 이제 그녀는 다시 삶의 목적을 찾아야만 합니다. 예전에는 교회 전단지를 받게 되면 찢어버리거나 관심이 없던 그녀였는데 이제는 갑자기 그런 내용이 눈에 들어옵니다. 그녀는 무언가에 홀린 듯이 교회를 찾아가게 되고 그곳에서 기도를 하면서 다시 삶의 목표를 정하게 됩니다. 그녀에게는 하나님의 말씀이 곧 삶의 목적이자 목표가 됩니다. 교회에 자주 드나들고 하나님을 믿게 될수록 그녀의 안색은 점점 밝아지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그녀는 어느 날 갑자기 자신의 아들을 유괴했던 사람을 용서해야겠다는 말을 합니다.
이해하지 못하는 용서
신애는 하나님의 말씀을 이해하고 자신의 아들을 죽인 범죄자를 용서하기 위해 교도소로 면회를 갑니다. 그의 얼굴을 보자마자 신애는 안색이 나빠집니다. 분명 그가 많이 힘들어하고 안색이 창백할 거라고 생각했지만 그의 모습은 정말로 편안합니다. 자신의 생각과는 다른 범죄자의 모습에 그녀는 갑자기 당황하게 되고, 그는 그녀를 보자마자 자신은 하나님께 죄를 용서받았다고 말합니다. 신애는 이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합니다. 아니 오히려 자신이 그토록 열심히 믿었던 하나님과 하늘에 원망과 분노를 터뜨리게 됩니다. 자신은 용서하지 않았던 사람을 무엇 때문에 용서를 해줬으며, 도대체 그 용서가 정당화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하늘에 외치고 또 외칩니다. 그녀에게 삶의 목표였던 하늘은 이제 더는 목표가 아닌 증오의 대상이 되어버립니다.
변해버린 그녀
그녀에게는 첫 번째 삶은 아들이었고 두 번째는 하나님이었습니다. 하지만 첫 번째, 두 번째를 모두 잃은 현재 그녀의 목표는 없습니다. 그녀는 하늘에 원망을 쏟아부으면서 환청과 환각에 시달리게 됩니다. 그녀는 자신의 삶을 놓아버린 셈입니다. 그녀에게는 더 이상 의지할 대상이 없고 삶을 열심히 살아가야 하는 명분이 없습니다. 교회를 향해 악을 지르고 화를 내면서 그녀는 망나니 같은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렇게 변한 그녀임에도 불구하고 종찬은 계속 그녀의 뒤를 묵묵히 지켜줍니다. 그녀가 정신없이 돌아다닐 때면 뒤를 쫓아가서 그녀가 넘어질까 봐 도와주고, 그녀가 비를 맞으면서 울부짖을 때는 우산을 씌워주기도 하는 남성입니다. 모든 삶의 희망을 놓았던 그녀가 어쩌면 지푸라기 같은 심정으로 마지막 삶의 목표인 김종찬을 선택했을지도 모릅니다. 둘은 그렇게 함께 서로를 바라보면서 영화는 끝이 납니다.
자신의 믿음
이 영화를 보면서 범죄자의 모습이 평온했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일을 정당화한 셈이나 다름없습니다. 우리는 우리가 한 행동에 대해서 내가 책임을 져야 합니다. 누군가에게 전가를 해서는 안됩니다. 하지만 이 사람은 자신이 하나님에게 용서를 구했다는 이유 하나 만으로 자신이 저질렀던 끔찍한 행동에 대해 전혀 책임의식을 느끼지 못합니다. 이 영화를 보면서 과연 종교에 대한 믿음과 내가 저지른 끔찍한 만행에 대한 용서가 진정으로 타인을 위한 용서인지, 책임감을 회피하기 위한 나만을 위한 용서에 대한 갈구인지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