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영화 교섭 후기 결국 안타까운 이 점

영화 교섭 후기 내용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영화는 2023년 1월 18일에 개봉한 영화로 12세 이상 관람가 등급입니다. 임순례 감독의 작품으로 출연한 배우로는 황정민, 현빈, 강기영 님 등입니다. 탈레반에 납치된 한국인 인질을 구하기 위해 자신들의 목숨을 걸었던 외교관과 국정원과 관련된 이야기입니다.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한 영화인만큼 더더욱 긴장감 있는 연출과 현지와 비슷한 지역에서 촬영한 덕분에 좀 더 사실적으로 몰입할 수 있습니다.

교섭을 위해 아프가니스탄으로 떠나는 외교관 정재호

 

 

그들은 왜 떠났나

때는 2007년입니다. 그 당시 전국적으로 뉴스는 아프가니스탄 관련 내용으로 떠들썩했던 시기입니다. 이 나라에 납치 사건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어서 대한민국 정부는 국민들에게 여행해서는 안 되는 지역으로 아프가니스탄을 수도 없이 외치고 말했습니다. 모두들 이 나라에 가는 것을 꺼려하던 그때, 샘물교회 23명의 한국인들은 아프가니스탄으로 떠나게 됩니다. 목적은 단 하나입니다. 바로 하나님을 믿게 하는 선교 활동을 하기 위해서였습니다. 그 누구도 그들이 아프가니스탄을 갔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지만 갑자기 아프가니스탄 한국인 피랍 관련 보도가 전해지기 시작합니다. 결국 그들은 탈레반에 의해 납치됐던 것입니다. 그리고 그 인질을 삼고 있는 탈레반은 대한민국 정부에게 단 24시간만 주겠다고 합니다. 대한민국에게 주어진 협상 시간은 24시간, 단 하루에 불과한 셈입니다.

이성적인 정재호

여기에서 정재호는 황정민 님이 맡았습니다. 정재호는 극 중 교섭 전문 외교관으로 나옵니다. 그는 탈레반 납치 소식을 듣고 자신의 시계를 바로 24시간에 맞게 세팅을 합니다. 어떤 생각이나 고민도 하지 않고 그들을 협상하기 위해 바로 아프가니스탄으로 떠납니다. 그는 굉장히 냉철하고 이성적인 사람입니다. 떠날 때 정장과 넥타이를 반듯하게 맨 차림만 봐도 그의 성격이 굉장히 깔끔하고 이성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프가니스탄에 도착했을 때 그의 곁으로 박대식이 나타납니다. 박대식도 이번 협상에 참여하기 위한 국정원 요원이지만 정쟁호는 그런 박대식이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정식적인 절차를 밟고 난 뒤 다시 오라고 말합니다. 그만큼 그는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성향입니다.

갑자기 바뀐 정재호의 마음

이성적이었던 정재호가 아프가니스탄에 도착한 뒤 차가 막히기 시작합니다. 시간이 부족한지라 정재호는 함께 탔던 일행들에게 걸어갈 것을 제안합니다. 그렇게 차에서 내리고 몇 걸음 걷지도 못했는데 온몸에 폭탄을 두른 테러리스트가 그 자리에서 자폭을 해버리고 맙니다. 순식간에 도로는 아수라장이 됩니다. 그리고 그 주변에 있었던 어린아이, 노인, 성인 등 누구 하나 가리지 않고 많은 희생자가 발생합니다. 그 과정에서 정재호도 부상을 당하게 됩니다. 그 순간 그는 깨닫게 됩니다. 이 나라가 이성적으로 대화가 되지 않을 나라라는 생각이 그의 머릿속에서 스치기 시작합니다. 이성적이고 논리적이었던 그의 마음이 한순간 변하게 되면서 그는 직접 대면의 중요성을 깨닫게 됩니다. 그래서 잠시나마 무시했던 박대식과 손을 잡고 인간의 생명을 살려야 한다는 하나의 목적으로 그렇게 둘은 파트너가 됩니다.

책임감 강한 박대식

극 중 박대식은 현빈 님이 맡았습니다. 박대식은 현지 국정원 요원입니다. 그는 무서울 것이 없는 사람처럼 행동합니다. 어떤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행동으로 먼저 보여주고, 인간의 목숨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책임감이 강한 사람입니다. 그에게는 이렇게 변할 수밖에 없었던 아픈 과거가 있습니다. 그는 그 순간을 떠올리고 싶지 않습니다. 과거 이곳에서 피랍됐던 인질들이 있었는데 박대식은 결국 그들을 구해내지 못했습니다. 안타깝게 그들은 희생됐고 이 사건이 그에게는 심한 트라우마로 남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사건을 그는 어떻게든 잘 풀어헤치고 싶어 합니다. 그의 목숨을 내놓게 될지라도 그는 24시간 안에 한국인들을 구해야겠다는 생각밖에는 머릿속에 남아있지 않습니다.

실제의 모티브

이 영화는 그렇게 실화처럼 인질로 잡혀있었던 한국인들을 구해내는 데 성공합니다. 비록 한 명의 희생자가 발생하기는 했지만 남은 한국인들을 살려냈다는 것만으로도 대단한 일을 한 셈입니다. 하지만 대한민국 국민들의 질타는 피해 가지 못합니다. 그 누구도 그 나라에 가서는 안된다고 외쳤지만 그들은 결국 그 나라로 갔고 그렇게 인질이 됐습니다. 그 당시 그들을 구하기 위해 수많은 인력이 동원됐습니다. 비난받을 행동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생명이라는 존엄성을 깨트릴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그때 풀려나서 공항에 입국하던 그들의 모습을 뉴스에서 생중계로 봤던 기억이 납니다. 고개를 푹 숙이고 들어온 모습과 반성하는 모습을 보여줬지만 국민들에게는 그런 모습이 사과의 모습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은 듯합니다. 그때 사건을 기억하는 사람들에게는 이 영화의 평점을 그렇게 높게 주지 않습니다. 그때 느꼈던 분노의 감정이 이 영화를 보면서 또다시 수면 위로 올라왔기 때문입니다. 이 작품을 기획한 임순례 감독은 관객들이 인질보다는 인질을 구하기 위한 긴장감 있는 스토리 전개에 더 몰입하기 위해 연출을 많이 노력했다고 인터뷰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의 평점을 살펴본다면 그런 연출에도 불구하고 관객들의 눈에는 인질들이 눈에 더 들어온듯합니다.

댓글